2021/02/27

Asia's growth engines set to misfire as post-COVID bounce wears off (Nikkei Asian Review)

팬데믹 이후 경제가 다시 정상화 된다고 하면 인도 10%, 중국 8% 그리고 이머징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는 약 7%정도 성장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ADB)

하지만 이는 단지 팬더믹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것. 그리고 더 암울하게도 이머징 국가들은 예전 수준만도 못할 것이라는 의문도 있음. 컨버전스로 귀결되는 문제는 항상 개발경제학에서 많이 다루어짐. 빈곤국들은 타 국가들과 경쟁을 하며 성장을 함으로써 부유국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이론이 있음.  하지만 이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음. 20세기 전반적으로 이머징 국가들은 부채, 인플레이션, 통화 안정 등의 문제를 항상 떠안아야 했고, 선진국들에 비해 성장률이 눈에 띄게 좋지는 않았음.

최근 10년간 기록은 대단했었음. 한 자료에 따르면 이머징 국가들은 1990년과 2000년대에 세계화의 혜택을 보며 고성장을 해왔음. 중국의 가파른 제조업 성장과 더불어 이머징 국가들은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역할을 수행함. (분업화) 

하지만 이런 혜택과 호황이 팬더믹 이후 시대에도 지속될 것인가가 의문. 하지만 전망이 그렇게 밝지만은 않음.

사실 COVID 이전에도 컨버전스 패턴이 최근 10년간 후퇴했다는 증거가 있음.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가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중국의 근본적인 공급과잉의 문제가 대두. 그에 따라 중국 경제가 과거만큼 초고속 경제 성장의 어려움이 있음. 이는 중국의 커머디티 수요 하락함에 따라 중국의 주변국들의 수출길이 막힘. 1990년 2000년 20년동안의 컨버전스는 매우 이례적임.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세계화는 팬더믹 이후에 더딜것으로 예상됨.  팬더믹은 물자와 사람의 국경 너머의 이동이 사실상 어려워지게 함. 미중간 지정학적 마찰을 기점으로 전 세계가 보호무역의 기조로 돌아서고 있음. 특히 중국은 쌍순환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미국으로부터 최첨단 기술 의존도에서 벗어나려고 함. 또한 중국의 이웃국가인 인도와의 관계 악화가 양국간 관세 부과로 이어짐. 탈 세계화가 이대로 이어진다면 이머징 국가들의 경제 부상은 어려워지게 됨.

다행히, 아시아 이머징 국가들은 타 대륙에 비해 상황은 좋은 편. 특히 글로벌기업들의 공장의 다각화는 중국 인근의 국가들에 수혜를 줌.  또한 중국의 소비 경제가 약간 증가함에 따라 수입이 증가. 

컨버전스는 빈곤국과 부유국과 경쟁 구도가 될 수 있음. 선진국들은 과도한 재정지출로 인한 엄청난 부채를 떠안고 있음. 하지만 이머징 국가들은 지출을 덜 하는 대신 개혁을 함. (Ruchir Sharma는 이러한 정책이 이머징 국가 전망을 더 밝게 한다고 얘기함)

하지만 세계 경제는 매우 복잡해짐. 트렌드는 제조업에서 디지털 서비스로 프레임이 전환중이고 자동화의 발달로 저렴한 노동력이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질 뿐더러 더욱 숙련된 노동력이 요구됨. 이는 2차산업 제조업을 하는 국가들에게는 고민해야할 숙제임.


출처

https://asia.nikkei.com/Opinion/Asia-s-growth-engines-set-to-misfire-as-post-COVID-bounce-wears-off

2021/02/11

Strong labor market is crucial for recovering the economy.

In order to recover the economy damaged by the pandemic, firm labor market needs to be maintained. Unless, unwanted hyperinflation occurs, the Fed would not tighten their monetary policy until the unemployment rate falls pre-pandemic level. However, worries from public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signs of inflation, explained below.

1) Compared to the recession caused by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recovery will be much faster than then. 

2) Households and companies already have enough cash to spend or expand their business but they are saving it into the asset for later.

However, the Fed chairman insist that it is still way far from strong labor market. He believes providing much support to the economy is less risky than doing too little.



Global Monitor

https://www.globalmonitor.co.kr/view.php?ud=202102110529085201a6a872ef5_41


How were countries democratic during the pandemic?

Economic Intelligent Unit has rated the state of democracy across 167 countries based on five measures - electoral process and pluralism, the functioning of government, political participation, democratic political structure and civil liberties. Only 8.4% of world's population live in a full democratic state while more than 30% live in authoritarian rule. 

Governments of each country has imposed lockdown for countermeasure of pandemic causing downgrades across the countries. The survey has indicated that temporary loss of freedom to prevent the catastrophe affected on the overall score of the rate.

For example, U.S. has downgraded into flawed democracy category while Taiwan has upgraded into full democracy. 


이코노미스트의 자회사인 EIU에서 1년마다 한 번씩 각 나라의 민주주의를 측정하는 레포트를 낸다. 다섯개의 기준으로 민주주의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2020년, 약간의 조정이 있었다고 한다. 팬더믹으로 각 나라의 봉쇄 조치의 정도에 따라 점수 평가를 하였는데 거리두기를 강화한 프랑스가 하향 조정 되었고 대만이 상향 조정되었다고 한다. 이번 평가에 따라 대만이 아시아에서 가장 민주적인 나라가 되었다고 한다. 



Economist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2/02/global-democracy-has-a-very-bad-year

2021/02/10

Bitcoin ETFs might launch this year, but nobody knows

 1. What would a Bitcoin ETF look like?

ETFs are known as exchanged-traded products. ETPs trade like stocks and can track any asset class by directly acquiring the securities or replicating the performance through derivatives. Largest Bitcoin ETP is EUR, listed on Stockholm Strock Exchange. The Grayscale Bitcoin Trust (GBTC) is physically backed, meaning it holds Bitcoin.

2. Is there demand for an ETP?

GBTC has surged its assets from $2.8 billion to $27 billion as demand soared. The recently launched BITW has also swelled in size from its December Debuts.

3. Why would investors pay such premiums?

Buying investment trust is easier than purchasing the coins themselves. 

4. Why have regulators shunned a Bitcoin ETF?

Because it is too volatile for regular ordinary investors since liquidity is very insufficient. That is why the approval is now delaying. Furthermore, Ms. Yellen noted concern for terrorist for criminal finance can use such coins, which makes difficult for Bitcoin ETFs to be approved. 


비트코인의 액면가가 일반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 부담에 따라 ETF에 대한 론칭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ETF 보다 하위 개념인 비트코인 ETP가 대용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데 이의 시세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같이 급상승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비트코인 자체의 부족한 유동성으로 인해 변동성 또한 빈번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은 비트코인 ETF 거래를 허락하는 데에 소극적이다.



Bloomberg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2-10/why-a-u-s-bitcoin-etf-could-be-a-real-thing-in-2021-quicktake

 


Vaccinating to all around the country is better than posing vaccine nationalism

The pandemic will be under control everywhere if all countries are doing their best countermeasures. If not, then the alternative is stay at their own country. (National prisons) 

The recession last year was the worst global contraction recorded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e economic damage will likely to remain permanently since the investment of business or companies shrank. Also pre-existing huge debt has added the fragility of the weakness of economy on top of pandemic recession. 

The only way to limit long-term economic downturn is to carry out virus under control. Vaccination to all people around the world are the key to solve it since global network of production and trade bind countries together. Even if vaccine is inoculated among only advanced countries, it does not settle cross-border travel for any purpose. Vaccine nationalism is not the triumph of pandemic; global distribution is the winning of this pandemic war.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나라들이 바이러스를 잘 통제를 하는 것 밖에 없다. 몇 개의 선진국들이 바이러스 문제를 해결을 한다고 해서 글로벌 전염병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각 나라의 교류를 이행해주는 무역, 여행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디커플링을 하는 것이다. 백신 내셔널리즘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전세계가 바이러스 통제에 고민을 해야 비로소 전 세계 경제의 회복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Financial Times
https://www.ft.com/content/a14399fc-49c0-4e29-8354-54f9a0b9a895

Fed's Powell won't change its easy monetary stance despite uptick of BER

The Fed will stimulate economy through low policy rate and hefty asset purchases. It is unlikely to withdraw policy support by raising rates or tapering its bond purchases in the near future. Fed emphasized for more fiscal assistance for the economy as monetary policy alone is not enough to bolster labor market to its lowest unemployment rate. 

U.S. economy shrank 3.5% last year, the worst contraction just after World War II. The unemployment recorded worst during pandemic. While Fed officials don't expect the unemployment rate to near its pre-pandemic level until 2023. 

The Fed took unconventional steps last March to cut its short term interest rate to near zero and launched an array of emergency lending programs and implemented large-scale purchases of Treasury securities and mortgage bonds $80 billion and $40 billion respectively. However, Jerome Powell put most importance on fiscal policy as essential tool in order to recover the damaged economy. 

The Fed won't hike its interest for temporary uptick of inflation. The central bank won't change its policies unless they see persistent inflation rate of over 2% for some time. The chairman of the Fed said providing too much support to an economy is more preferable than doing too little until unemployment damage recovers to the pre-pandemic level. 


이중책무(Dual Mandate)를 목표로 하고 있는 연준은 고용이 팬더믹 이전 수준까지 회복을 해야 작년에 이행되었던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에 조금씩 테이퍼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WSJ에서 보도하였다. 현재는 2%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보다는 고용 회복에 신경을 더 쓰는 모양이다. 연준은 그들이 구사하는 통화정책에 더하여 강력한 재정정책 (Policy Mix 혹은 Monetary Financing of Government)이 수반되어야 경제의 회복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고 주장을 한다. 



Wall Street Journal

https://www.wsj.com/articles/feds-powell-signals-easy-money-policies-to-remain-in-place-for-a-while-11612983601

How TSMC influential to its national economy

The demand of semiconductor has made TSMC the most precious chip-maker in the world. It is now under construction for the world's most advanced 3-nanometer chip production plant. The company says it is willing to pay lucrative premiums to the workers of construction during Lunar new year holiday. TSMC is also building research and data center in northern city.  

Construction workers across Taiwan are attracted to TSMC's sites as it pays much higher wages than elsewhere. It is strong pillar of Taiwan's economy and the center of the tech ecosystem. TSMC boosts capital expenditure by $25 billion to $28 billion, bringing workers from abroad to home amid U.S. China trade tensions. 

Taiwan's private and public sector investment is robust and economic growth beat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even outpacing China for first time in 30 years. (1/3 of Taiwanese stock market) Taiwan's semiconductor industry, the world's second-largest by revenue after the U.S. TSMC revenue accounts 15% of gross domestic product. 

TSMC is a chip supplier for tech giants like Apple, Google, Nvidia and so on. It makes chips for iPhone, Google's data centers, Nintendo and Sony game consoles, automakers such as Ford, Honda, Daimler and fighter jets. It supplied chips for Huawei's high-end smartphones and telecom equipment before the U.S. changed its export control rules to cut off the Chinese tech champion's supplies.

Semiconductors are no longer just components but strategic resources all major economies must secure. "Chips are really at the center of the global supply chain. But it also means it will receive all kinds of political and economic pressure from major economies."


팬더믹 확산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각 나라의 봉쇄조치로 인하여 자택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데이터센터와 콘솔 게임기, 그리고 넷플릭스 등 인터넷 서비스 이용량이 많아져 반도체의 인기는 식지가 않았다. 반도체를 설계하는 기업들은 경쟁이 심화가 되는 반면, 비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업체는 매우 한정적이라 TSMC가 현재 생산에 차질이 있는 모양이다. 이번에 증설되는 3나노 공장라인은 TSMC가 전세계 수요에 맞게 공급을 맞추기 위함으로 본다. 이에 따라 대만의 경제가 최근 몇년 사이에 아시아에서 가장 성장이 빨랐다고 닛케이에서 보도하였다. 


Nikkei Asia

https://asia.nikkei.com/Spotlight/Asia-Insight/Taiwan-s-economy-feels-heat-as-TSMC-feeds-global-chip-boom


Biden Administration is still reviewing about the trade policy that Mr.Trump implemented

The Biden Administration indicated that new frame of trade will pursue "worker focused" approach. This means the underlying direction of trade will focus on recovering American manufacture economy by promoting American export. It is still unclear how they will implement this policy specifically, but it is predictable that the trade will be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factors and American workers. Also, Mr.Biden also has to come up with decision about legacy of higher trade barriers and large tariffs on foreign products, including goods from China. On Feb 1, Mr.Biden reinstated tariffs on aluminum imported from United Arab Emirates, which can be a clue to the future decision. 


바이든 정권의 도래함에 따른 글로벌 무역의 방향성이 궁금해진다. 전 대통령인 트럼프 줭권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유지할 것인지도 주목해봐야 할 문제인듯 하다. 하지만 유추를 해보자면, 바이든은 자국의 노동자를 위한 프레임을 구상했을 것이다. 트럼프와 같은 극단적이고 자극적인 정책을 추구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주변국과의 강화된 동맹 기반의 방향성을 장려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이다.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21/02/08/business/economy/biden-trade.html


Fake Inflation

Rising break-even inflation rate, an index of inflation expectation, can be regarded as temporary phenomenon due to the elements such as base effect from pandemic, fake(?) CPI updates from Eurozone, steep backwardation of oil price by cutting supply, surge in freight rates due to lack of container, and rise of U.S. housing rents. However, break-even rate is far from its fundamental value. It can skyrocket as Gamestop and AMC did recently by investors' mere bets. 


기대 인플레이션이 최근 2%를 넘나들고 있다. 글로벌모니터에 따르면 세인트루이스 연준의장 제임스 불라드는 '연준의 새 프레임워크'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가 먹히고 있다고 언급을 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언제든 환영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은 여러 요소들에 기인하는데 이는 결코 지속 가능하지 않는 단기적인 현상에 머물수도 있다고 한다. 이는 펀더멘털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아닌 오직 투자자의 베팅에 의해서만 좌우되기 때문이다. 


Global Monitor

https://www.globalmonitor.co.kr/view.php?ud=2021020405300331841a6a872ef5_41

2021/01/18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국가, 터키.

지리적 위치를 유심히 관찰하면 터키는 유럽 국가인지 아시아 국가인지 분류가 애매하다. 해마다 열리는 축구 국가대항전 이벤트가 있을 때 터키는 항상 유럽 소속으로 출전을 하여 유럽으로 분류를 할 수도 있지만 국가 면적과 인구 비율로는 각각 3%와 19% 밖에 차지하지 못한다. 밑에 지도에서 볼 수 있다시피 보스포루스 해협이 유럽과 아시아를 가르는 기준점이 된다. 여행을 좋아시는 분들이 항상 추천을 하는 나라이기도 하고 실제로 이스탄불에 가면 풍경이 많이 유럽식이라고 한다. 필자는 이스탄불에 간 적이 있었는데 너무 어렸을 때 간지라 기억이 많이 없다. (하필 그때 이스탄불 대지진이 났다.)


터키 간단 소개

앙카라를 수도로 둔 터키는 호수와 섬을 모두 포함해서 5,343 km² 이다. 이는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레보다는 약간 작지만 칠레와 이스라엘을 합친 것보다 면적이 더 넓다. 인구는 약 8천 3백만명 정도 되는데 - 이는 콩고보다 적지만 이란과 독일보다는 더 많다 - 상업도시인 이스탄불에 인구가 집중이 되어 있다. 이스탄불이 약 1천 5백만명 (2019년 기준)이고 앙카라가 500만명이다. 아타놀리아 중심지 출신의 억만장자들이 권력의 중심부에 더 가까이 가고자 이스탄불로 가는 사람들이 많아서이다. 터키는 난민이 많기로 유명하다. 3년 전 약 100만명이 넘는 난민들에게 합법적 신분을 부여했으며 시리아 난민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터키 신생 기업들 중 25%는 시리아인들에 의해 시작이 되었다고 한다.


배경

터키 공화국이라는 정식 명칭은 1923년에 처음 불리게 되었다. 1차대전 때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Mustafa Kemal Ataturk)가 이끄는 민족주의 세력들이 그 땅을 지배하던 동맹들을 물리치고 국경을 만들었다. 그 후로 터키는 서양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 구조를 모방을 하고 EU에 가입을 하기 위해서 열심히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지만 터키 내부만의 인권침해 등 EU 국가들이 강력하게 비판하는 정치적 성향을 띄고 있어서 아직까지 보류가 되고 있다. 이는 터키의 독단적이 외교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고 현재 유럽국가들의 거센 제재를 받고 있다. 최근 터키가 러시아산 미사일을 구매하여 미국으로부터 많은 질타를 받고 있으며 바이든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 터키에 대한 제재는 더욱 강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변 국가들과의 갈등

터키는 미국과 EU와 사이가 안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 분들은 많다. 물론 이 국가들 뿐만 아니다. 먼저 아르메니아와 사이가 매우 좋지가 않다. 제 1차 세계 대전 때, 아르메니아인들을 집단적으로 학살을 한 과거가 있다. 이는 중동 국가들의 악감정을 사기에 충분하였다. 작년 말 즈음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과의 영토 갈등이 있을 때, 터키는 아제르바이잔을 전폭적으로 지지를 하며 아르메니아에 매우 강경한 스탠스를 보여왔다. 뿐만 아니다. 터키는 시리아와 리비아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으며 이라크에서 쿠르드 군에 대한 반복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리스 및 키프로스와의 분쟁에서 영토권을 주장하고 있다. 


레제프 타이프 에르도안

에르도안 대통령은 실용주의적 개혁에서 벗어나 대중적 국수주의의 길을 걷고 있는 '새로운 푸틴'이라고 비난을 받는다. 하지만 2003년 처음 즉위할 때부터 그러지는 않았다. 2000년대 초, EU의 형성으로 인해 유로화가 강세가 되는 시점에 터키의 리라 가치는 폭락하게 되었다. 이는 터키의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게 되었는데 어떻게라도 통화를 안정시키고자 그는 Ali Babacan과 같이 능력있는 경제 자문관들을 임명하여 터키 경제를 안정적으로 다지고자 노력을 하였다. 또한 그는 런던과 뉴욕에 자주 방문을 하여 '자유시장 민주주의 원칙도 무실림 사회의 기본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를 하며 터키를 서양 세계로 통합하는 문제를 주제로 연설을 수 차례 하였다. 낭비가 심한 연금제도를 개혁하고, 국영 은행들을 민영화하고, 파산 기업들을 더 원활하게 청산시킬 수 있는 법을 통과 하였다. 이는 터키의 흑자 예산을 유지하는 것을 다짐하면서 국가재정을 튼튼히 유지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당시 터키는 잠깐동안 국민 평균 소득이 1만달러를 돌파하였다. 물론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에 어쩔 수 없이 개혁을 받아들여다는 얘기도 나오긴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기에 에르도안만큼 적합한 지도자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었다.


하지만 에르도안이 이끄는 다수당의 크기가 커지면서 그의 오만함은 날로 갈수록 심해졌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EU 가입에 실패를 해서 그럴까. 2011년 그의 3번째 임기가 시작될 때 나이트클럽, 담배, 음주 등등을 탄압하기 시작하며 이슬람 사회의 관행을 더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세속적인 터키인을 소외를 하고 국수주의적인 오만을 쇄신하는데 엄청난 거액을 투자하였다. 세계 최대 사원을 포함하여 오스만 제국 시대 때 이슬람의 위대함을 부활시키기 위해 설계된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그로부터 2년 뒤, 이스탄불의 한 대중 공원을 오스만 제국 분위기가 느껴지는 쇼핑몰로 바꿔놓겠다는 그의 계획은 이집트에서 브라질까지 신흥 세계 전역에 걸쳐 낡은 정부에 반발하려는 움직임의 원동력이 되었다. (중산층 혁명)

무역

터키는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가 쌓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경제 발전에 필요한 천연자원이 없고, 철, 금 석탄, 구리와 같은 원자재를 수입을 해야만 한다. 2019년 기준 약 $1,820억 달러를 수출하였지만 수입은 그 보다 많은 $1,98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수출 품목은 대부분 운송장비, 원단, 농산물, 철강을 수출하고 대부분 중동이나 유럽으로 많은 무역수지 흑자를 낸다. 반면 화학, 원료, 기계는대부분 러시아와 미국,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한다.**

흥미로운 것은 경상수지이다. 경상수지는 터키의 cash-cow인 관광산업과 서비스업의 괄목한 외화벌이로 흑자가 된 것이다. 하지만 2020년은 달랐다. 전 세계가 lockdown과 같은 봉쇄조치로 인하여 관광산업에 타격을 입게 되었다. 서비스업 및 관광업이 터키의 고질적인 무역 적자 문제를 메꾸어왔지만 팬더믹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피해갈 수 없었다. 
번외로, 작년 11월 무역수지가 1년전에 비해 154%가 급증했다는 것인데, 그 이유가 바로 터키 국민들의 'currency run' 때문인데, 이는 터키 국민들이 자국 화폐를 믿지 못하여 금 따위의 귀금속 수입이 많이 늘어서 그렇다고 한다. 
 
인플레이션 문제

터키는 내부적인 정치적 문제, 비 전통적인 경제정책, 그리고 지정학 리스크로 많은 외부 투자자들의 기피 대상이 되었고 그에 따라 터키로 들어오는 자금이 적기 때문에, 리라 가치도 떨어지게 되었다. 또한 민간 부문에도 외화 부채가 상당하여 재무 안정성에 위험이 있다고 한다. 물론 약한 리라는 수출로 대외적인 불균형을 감소하기에 이점이 있어 그것을 살려 자국 산업 섹터를 강하게 끌어 올릴수는 있다. 하지만 터키는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기 때문에 '교과서적인' 무역수지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결국 리라의 강세를 유발하지 않는다. 특히 2020년에는 관광 산업 부진으로 외화벌이 요소가 줄어들어 리라의 하방을 압력을 하는데 한 몫을 하게 되었다. 

일단 계속되는 유출을 막고 리라 가치를 회복시켜보기 위해 달러를 대량 매도를 하고 리라를 방어를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외화보유고의 고갈로 이어졌다. 그래서 이머징 국가들의 통화가 강세일 때에도 터키 리라 혼자 약세인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또한 코로나로 인한 과도한 경기부양책이 터키 리라 가치를 약하게 하였다. 1주일 레포 금리를 타겟으로 하는 터키의 기준금리는 작년 9월까지만 해도 8% 정도 되었다. 하지만 CPI가 12% 가까이 되어 실질 금리는 -4%이다. 명목금리가 아무리 높더라도 물가상승률이 이를 추월하면 그 나라 통화는 매우 약한것이나 다름이 없다. 이런 마이너스 실질 금리와 높은 정치적 위험은 터키로 유입되는 자본 유입이 막히고 유럽은행들에 실질 부채 증가와 같은 수지상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개선 단계

최근 3개월 동안 달러-리라 환율이 안정세로 돌입하고 있다. 지난 11월, 터키의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장관이 같이 바뀌게 되어 '경제정책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된 영향이다. 금리 인상을 매번 반대하였던 에르도안 대통령도 금리인상을 용인하는 스탠스이다. 이는 터키 리라의 유출을 막고자 중앙은행과 관련된 인사들이 경제를 처방하기 위함이다. 작년 12월에 터키의 정책 금리를 17%까지 올리는 매파적인 시도가 환율 부분에서 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2019년에 비해 회복이 덜 되었지만 기저효과 영향으로 10% 절상이 되었다. 하지만 터키의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문제는 14.6%로 현저히 높지만 현재 실질금리는 플러스 전환을 하였고 앞으로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잔존한다. 또한 백신 기대감으로 이머징 국가 전반적인 환 강세로 터키의 환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터키의 주식시장 증시인 Borsa Istanbul 100은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최저점에서 70%를 회복하였다. 터키의 리라 강세에 롱을 보고 투자한 외국인들의 영향인 듯 하다.


기타

터키의 법인세는 20%에서 22%로 증가를 하였고, 개인소득세율은 15% -35% 사이이다. 하지만 연소득 6만 5천달러가 넘는 사람들에게는 약 35% - 40%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터키의 GDP는 7,600억 달러이며 1인당 GDP는 9천달러이다. GDP 대비 FDI inflow는 1.6%로 매우 저조하다. 

터키에 수출을 하는 한국 소비재 기업들에게

한국은 터키에 엄청난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무역 수지는 감소를 하고 있지만 터키는 한국 수출 산업에 매우 중요한 국가이다. 한국은 터키와 FTA 체결이 되어 있으며 양국 간 무역 규모는 2018년 기준으로 72억 달러이다. 또한 터키는 한류의 영향으로 소비재 브랜드에 매우 우호적이다. 화장품이나 식품을 운영하는 기업들에게 터키 수출은 어렵지 않다. 또한 터키는 양극화가 뚜렷하기 때문에 조금 산다는 중산층들은 수입품을 선호한다. 환경에 문제가 없는 제품들과 터키의 농업 산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제품이라면 터키에 수출하기를 권한다. 

공산품을 수출을 할때에는 CE 인정서가 꼭 필요하다. 터키는 EU 국가는 아니지만 EU 표준을 따르기 때문이다. KC 마크와 같은 성격의 터키 고유의 TSE 인증도 있지만 CE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둘의 인증절차의 차이는 많이 없지만 TSE 인증이 시간적 금전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더 포괄적으로 사용되니 CE 인증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화장품 수출을 할때에는 UTS 인증이 꼭 필요한 것으로 나온다. 터키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돼지고기 성분이 들어가지 않는 할랄 인증은 필수다. 


출처: WSJ, NYT, 글로벌모니터

2021/01/07

동남아시아 6개 국가의 이커머스 시장과 플랫폼 점유율 그리고 미래

필자는 Alibaba 본사로부터 초청을 받아 강의를 하였을 때 주로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 대해서 발표를 자주 했었다. 물론 Alibaba.com 운영 노하우와 실질 오더 체결 성공 사례들만 나열해서 강의를 하면 되었지만 (이것은 Alibaba 본사 담당자가 바라는 바) 각 나라 이커머스 시장을 필자의 강의에 포함시킨 개인적인 이유는 간단하다. Alibaba.com은 글로벌 B2B 온라인 무역거래 플랫폼이다. 즉, 전 세계 각국 reseller 대상으로 영업을 해야 한다. reseller들은 Alibaba로부터 제품을 수입을 하여 현지 국가 최종 소비자들에게 판매를 하기 때문에 그들이 그 나라에서 어떻게 유통을 하는 것인지, 어떤 플랫폼을 사용하여 판매를 하는 것인지 꼭 확인을 해야 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해당 나라의 마켓과 B2C 이커머스 시장에 대해 필수적으로 이해를 해야한다


20203, 필자는 전 세계 reseller 1,066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libaba.com으로 유입이 되는 바이어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응시자 중 68%가 동남아시아 지역이다. 그래서 이번 글은 동남아시아 6개국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과 플랫폼 기업에 대한 전반적으로 소개를 하겠다.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SEA 구역 1등 플랫폼, Shopee

Shopee 동남아시아 현재 6개의 국가의 전자상거래 점유율의 우위를 지배하고 있다. 2020 2월까지는 Lazada Shopee의 점유가 크게 차이 나지 않았는데 (Lazada가 약간 우위) 팬더믹 이후로 처지가 달라졌다. 작년 3월을 기점으로 Shopee의 매출과 주가는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주가는 작년 3 23일 최저점 이후로 400% 이상 증가했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이 이 기업에 엄청난 상승 베팅에 걸었다는 증거이다. ShopeeLazada의 웹 트래픽만 동남아시아 전체 이커머스 웹 트래픽의 60% 정도 되니 이의 영향력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막대하다.

Shopee의 모회사는 Sea Group으로 동남아시아 기업 최초로 뉴욕거래소에 상장이 되었다. 중국의 최대 IT기업 Tencent로부터 투자를 받은 것으로 유명하며 2017 10월에 상장을 당시보다 주가가 10배 이상 오른 상태이다. 매출은 급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순 손실만 40% 정도 육박하니 아직까지는 투자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성장하는 단계라고 간주해야 하는 것이 주식을 하는 사람들에게 투자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 회사가 갖고 있는 막대한 자본과 이를 지원하는 기관 투자자 라인업들을 보았을 때, 미래 성장성에 충분히 기대를 걸어볼 수 있다.

Lazada와의 차별화

Shopee의 동남아시아 점유율의 승리 비결은 효과적인 마케팅과 다양한 할인행사 및 프로모션, 그리고 상품의 다양성 등등이 있다. 그 중에서 3가지 요인을 꼽는다.

1.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우위

라이브 스트리밍과 같은 ‘Shoppertainment’ 개념은 Lazada 먼저 시작을 하였다. Lazada Alibaba Group의 인수 이후 타오바오 라이브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서비스 'Laz Live'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최초로 시도를 하였다. 흥미롭게도 Shopee도 'Laz Live' 런칭과 비슷한 시기에 그들만의 독창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Shopee Live'를 도입하며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ShopeeLazada와 두는 차이가 확장성이다. ‘Laz Live’는 한정된 국가에서 한정된 카테고리로 서비스를 진행을 하였지만 Shopee는 이보다 더 포괄적으로 진행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후 Shopee에 입점한 셀러들의 매출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매출이 75% 넘게 올랐다고 한다. 선두로 시작한 것은 Lazada이지만 ShopeeLazada의 마케팅 방법을 벤치마킹 후 그것을 극대화시켜 SEA 전자상거래 시장에 우위를 점했다.

2.    신박한 재미 추가

Shopee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끝나지 않았다. ‘Shopee Live’‘Shopee Quiz’ 요소를 추가하여 동남아시아의 잠재된 고객들을 끌어 모으는데 성공을 하였다. 그 나라에 친숙한 SNS 인플루언서들을 호스트로 섭외하여 라이브를 진행을 하였는데, 퀴즈를 맞추는 고객들에게 Shopee Coin을 제공하였다고 한다. 이 코인을 갖고 있으면 라이브 커머스 참여자들에게 프로모션 경품을 무상을 증정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더 많은 소비자들의 트래픽을 끌어오기 위해서 단체로 참여하는 그룹들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주며 소비자들을 유입을 하는데 성공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인스타그램 기능과 비슷한 ‘Shopee Feed’라는 서비스를 작년 1월에 출시를 하여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경품을 걸어 놓았다. 그 상품 피드에 고객들이 좋아요를 누르고 지인들에게 공유를 하면 더 많은 혜택을 증정하는 방식으로 바이럴 마케팅을 구사하였다. 이는 Lazada도 비슷한 기능을 출시를 하였지만 Shopee만큼 고객 친화적이지 않아 많은 성공을 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3.    소비자 친화적인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LazadaLaz Live를 할 때에 항상 유명한 인플루언서를 위주로 캐스팅하였다. 하지만 Shopee는 이와 반대로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소비자들이 쉽게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대학생 크리에이터 혹은 무명 인플루언서를 호스트로 두었다. 이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위화감을 최소화 하고 더 많은 소통을 할 수 있게끔 환경을 조성하여 소비자들을 끌어 모았다고 한다.

Tokopedia와의 차별화

Tokopedia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이 사랑과 신뢰를 받는 플랫폼이어서 Lazada도 쉽게 침투하지 못하였지만 팬더믹 이후, Shopee가 급격한 확장세로 뻗어나갔기 때문에 점유를 빼앗겼다고 한다.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이유를 들 수 있다.

1.    빠른 회전율과 여성 고객 유치

자카르타에 본사를 둔 Tokopedia는 전기 전자 제품 카테고리로 구성된 플랫폼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한 번 구매를 하면 짧으면 1년 길면 3년 이상 사용하는 제품들이다. 뷰티와 가공식품, 생활용품, 패션 등 fast-moving 카테고리를 강점으로 운영하는 Shopee와 경쟁을 하기 힘든 구조이기도 한다. 그리고 온라인 쇼퍼들은 대부분 여성이 차지를 하는데 이들은 당연히 Shopee로 접근하기 쉬울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방탄소년단을 메인 모델로 기용한 Tokopedia의 전략이 실패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당연히 남자 고객이 많은데 BTS에 관심을 갖겠는가? 흥미로운 것은 Shopee는 방탄소년단의 의상을 입은 Didi Kempot를 모델로 섭외를 하여 저비용 고효율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2. 더 공격적인 마케팅 추진

Shopee Tokopedia에 비해 대규모 할인 및 프로모션으로 매우 공격적이다. 사실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프로모션에 끌릴 수밖에 없는 소비 본능(?)이 있다. 사실 Tokopedia는 전통적인 내구재가 주류 카테고리를 이루기 때문에 다양하고 재미있는 프로모션을 하기가 어려운 구조이다. 하지만 뷰티 등 회전률이 빠른 상품들은 다양한 상품 기획전을 하기 쉽다. 비록 Shopee Tokopedia에 비해 늦게 진입을 하였지만 마케팅에 많은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여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데에 성공을 했다고 생각한다. (CAPEX, OPEX, R&D, 마케팅 투자의 중요성)

Lazada Tokopedia Alibaba로부터 투자를 받아 운영되고 있다. 이 두 플랫폼은 별도로 상장이 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재무제표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매출의 성장을 논할 수가 없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거대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Shopee의 성공을 반면교사로 삼는다면 이들도 전자상거래 시장 마켓에 맞춰 적응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인도네시아 이커머스 기업에 투자하는 전세계 대기업

Tokopedia는 현재 상장을 할 것이라는 계획을 내세웠지만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IPO를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히지는 않았다. Bridgetown Holdings를 통한 SPAC 상장을 하거나 혹은 Gojek과 합병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확실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지켜봐야한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전세계 대기업들이 Tokopedia에 매우 관심이 많다는 것이다. SoftbankAlibaba는 이미 Tokopedia의 지분을 각각 34%, 28% 갖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의 유명한 국부펀드 TemasekTokopedia를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 GoogleTokopedia1.7% 지분을 쌓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Tokopedia 뿐만 아니다. 자카르타의 유명한 핀테크 기업 Gojek은 싱가포르의 투자 기관인 Gamvest, Google, Tencent 등이 투자를 하고 있으며 FacebookPaypal 또한 이 기업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니케이 아시아에서 보도가 되었다. 만약 GojekTokopedia가 합병을 하게 된다면 얼마큼 크게 될 것인지 매우 궁금하다. 확실한 것은, Shopee는 이들의 반란에 긴장을 놓으면 안 될 것 같다. 번외로 인도네시아에서 3번째로 점유가 높은 BukalapakAnt Financial이 투자를 하고 있으며 Microsoft도 이 기업에 전략적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를 한 바가 있다.

동남아시아 이커머스 시장의 이해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누구나 외칠 것이다. 그만큼 성장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만 모아 놓았다. 이들의 구매력은 해마다 늘어날 것이고 소비자들을 위한 공급 시스템망도 해마다 개선되고 있다. 추가로 동남아시아 소비자들은 중국 소비자와 흡사하게 컴퓨터 시대를 건너뛴 스마트폰 세대들이 많아 빠르면 올해 안에 디지털 소비 트렌드로 완벽히 넘어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다. 가장 매력적인 것은 생산가능인구의 상대성 증가이며 이들의 잠재적 소비성향도 어느 시기에 돌입하게 되면 폭발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을 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에 소비재를 수출하고 싶으면 그 나라 전자상거래를 우선 파악한다고 필자는 항상 강조한다. 전자상거래 특성을 이해하면 그 나라의 소비 특성을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최근 들어 불어온 CBT(Cross Border Trade) 열풍은 B2B와 같은 소품종 대량이 아닌 다양성이 두각되는 다품종 소량에 비중을 두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현지 플랫폼에 주목을 해야 수출 품목 트렌드를 더 빠르게 접하기 쉬울 것이다. 무작정 상품을 보라고 추천하지 않는다. 그 나라 시장을 먼저 조사를 해야한다고 조언을 하며 블로그를 마치겠다.


참고자료: Nikkei Asia, Statista, TDL MW


2021/01/04

아시아 최대 글로벌 무역 및 금융 허브 도시국가, 싱가포르.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아마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영어로는 Four Asian Tigers 혹은 Dragons라고 표현이 되었는데 이는 1980년 대에 홍콩, 중화민국(대만), 대한민국, 그리고 싱가포르 이 4개 국가가 일본의 뒤를 이어 고도 경제 성장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일컬어지던 말이다. 2000년대로 치자면 BRICS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혹은 MIKTA (멕시코, 인도, 대한민국, 터키, 호주)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아시아 외환위기 사태를 극복하여 전 세계에서 인정하는 선진 경제국이 되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싱가포르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 한다.

싱가포르 간단 소개

말레이 반도 하단에 위치한 싱가포르는 약 570만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과거에 영국으로부터 지배를 받았지만 1959년에 해방이 되었고, 1965년에 말레이시아로부터 정식적으로 독립이 되어 싱가포르라는 이름을 가진 국가가 탄생하게 되었다. 국가의 면적은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국가 중 하나이며 홍콩보다도 작다. 이 보다 작은 국가는 괌, 몰디브, 리히슈테인 등등 이름을 떠올리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 화교가 75% 정도로 대부분의 싱가포르 민족을 이루고 있으며 말레이계가 13.4%, 그리고 인도계가 9.0%정도 된다. 싱가포르는 4개의 공용어를 가지고 있는데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그리고 타밀어로 주로 소통을 한다고 한다. 이 국가는 홍콩과 다르게 영어를 중국어보다 먼저 배우지만 중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영어를 배우는 것은 강제적이진 않다. 대신 영어를 배우면 싱가포르에서 더 높은 조건으로 업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어를 필요에 의해 배운다. 싱가포르는 종교가 매우 다양하다. 불교가 33% 이지만 기독교, 이슬람교, 도교 등등 종교가 매우 다양하고 비중도 고르다. 

정치

싱가포르는 독재국가이다. 독재국가라고 해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 처럼 부정부패가 심한 국가가 아니다.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부패가 적으며 완벽한 자유시장경제를 추구한다. 홍콩, 두바이(도시)와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아시아 도시이자 국가이고 이를 위해 과거 리콴유 때부터 현재 리셴룽까지 많은 노력을 가하고 있다. 물론 이 나라도 대통령이 있지만 그가 갖고 있는 권력은 인민 행동당 (싱가포르는 일당제 시스템) 총리보다 훨씬 덜하다. 싱가포르는 공공 주택 정책을 사용한다. 약 85%의 주택이 싱가폴 정부 소유인데 그 이유는 국민들 모두에게 국가의식을 심어주고자 집을 공급해주면서 내집마련 걱정을 제거해주는 요인으로 꼽힌다. 물론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될 즈음에 인프라가 굉장히 낙후가 많이 되어있었는데 리콴유가 정권을 잡으면서 건설투자로 정부 지출을 고도로 늘렸다. 국민들에게 투명함을 제공하니 싱가포르 국민들은 현재 정권에 매우 만족을 한다고 한다.

경제

싱가포르 국가 GDP는 3,721억 달러로 매우 평범하다. 이는 한국의 약 20% 전후로 되지만 싱가포르의 1인당 GDP는 6만 5천 달러 부근으로 IMF, World bank 기준 전세계에서 10위권 안에 든다. 그리고 PPP (구매력 평가지수)로는 전세계에서 3위이다. 그만큼 싱가포르 달러의 위상이 높다고 간주될 수 있다. 싱가포르 경제는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고성장을 하였다고 보는데 이는 금융, 글로벌 무역 (정유, 해운업 포함), 그리고 기업 친화적 환경이다. 이는 싱가포르가 갖고 있는 지리적 이점이 가장 크다. 간단하게 설명을 해보겠다.

1) 금융

싱가포르 경제는 해외 직접 투자의 비중이 가장 크다. 즉 싱가포르의 금융 기업들이 타 국가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 최근에 동남아시아의 성장성이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를 많이 한다고 한다.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및 핀테크 기업 Tokopedia, Gojek, Bukalapak 등등 싱가포르 금융기관이 공격적인 투자를 하면서 지분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 국부펀드 기관, Temasek이 가장 유명한데 이는 Singapore Airlines, SingTel, MediaCorp 등 대거 지분을 갖고 있다. 싱가포르로 들어오는 외국인 투자자들도 물론 많다. 이는 싱가포르가 갖고 있는 기업 친화적인 사업 환경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된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의 부채 위기로 인한 디폴트로 인하여 자금을 조달해왔던 싱가포르 금융기관에 타격을 주어 싱가포르 경제 성장에 발목을 잡기도 하였다.

2) 글로벌 무역

싱가포르는 굉장히 축복받은 땅이다. 중동, 베네수엘라와 같은 에너지가 풍부한 자원국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지리적인 이점을 갖고 있어서 전 세계의 물동량이 수도 없이 거쳐간다. 싱가포르는 태평양과 인도양을,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를 잇는 무역, 물류 중심지이다. 이는 reselling 산업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이다. 이 글을 쓰는 필자는 싱가포르에 한국산 소비재들을 수출을 하는데 이와 같이 싱가포르에서 수입을 하는 이유가 싱가포르 주변국가인 동남아시아 국가로 재수출을 하기 위함이다. (수입 품목 대부분 전자제품 등 소비재) 그래서 싱가포르에 무역상인들이 굉장히 많다고 한다. 그 외로, 싱가포르는 물과, 에너지 자원이 부족하여 대부분 수입을 한다. 또한 원유를 가공하여 정유 수출 또한 싱가포르 무역에 비중이 크다. 

싱가포르항은 중국 상하이항이 급부상하기 전까지는 전세계 1위 물동량을 기록을 하였고 현재는 2위를 자리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는 전 세계 최대의 환적 항만이며 그 비중이 20% 정도 된다고 한다. 싱가포르의 수출입 규모는 국내 총 생산이 2018년 기준으로 200%가 넘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미중 무역 전쟁으로 중국 경제의 하락세로 싱가포르가 직격탄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그해 2분기에 마이너스 3.3%로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비석유 수출은 2018년 보다 18% 줄었다. 

3) 기업 친화적인 사업 환경

싱가포르에 외국계 기업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 글로벌 대기업들이 꼭 싱가포르에 법인이 하나씩 있는 이유가 법인세가 타 국가에 비해 굉장히 낮아서이다. 유럽에 아일랜드보다는 법인세율이 높기는 하지만 그래도 17%밖에 되지 않아 많은 글로벌 기업들을 싱가포르로 유치하는데 성공한다. 이는 싱가포르가 고성장을 하기 위해서 내세웠던 기업 친화적인 정책인데 이를 통해 싱가포르 경제가 많이 성장하였다고 한다. 이 밖에도 바이오 산업, 관광업 등도 싱가포르 경제에 많은 기여를 한다.

번외

싱가포르라고 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 처럼 좋은 것만 있을 수는 없다.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해서 자동차 관세가 타국가에 비해서 굉장히 높은 편이다. 그만큼 자동차 구매에 금전적인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그리고 싱가포르는 벌금에 있어서 매우 공격적이다. 흡연을 하거나 껌을 뱉거나 하면 관광객 불문하고 벌금이 불가피하다. 이는 싱가포르의 건전한 재정을 충당하는데 매우 좋다. 

무역전쟁과 팬더믹

앞서 언급하였듯이 싱가포르는 중국 경제에 의존도가 매우 높다. 과거부터 싱가포르는 중국 상대로 항상 흑자를 기록하였다. 또한 싱가포르 금융 기업들이 중국 기업에 많이 직접 투자를 많이 해왔었다. 중국 경제에 과하게 의존을 한 결과 중국 기업들의 디폴트 우려와 미중무역전쟁으로 인한 중국 경제의 경착륙성 하강은 싱가포르 경제에 발목을 잡는다. 그래서 2019년부터 싱가포르 GDP 성장률이 0%대에 접어든 만큼 2018년 이전 수준을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엎친데 덮친격으로 팬더믹이라는 세계적 불황이 싱가포르의 글로벌 무역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특히 관광업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싱가포르는 4분기 연속 침체라고 한다. 2020년 싱가포르 GDP 성장률이 안타깝게도 -5.8%라는 수치가 나왔지만 내년에 싱가포르 정부에서 내년부터 사회 안정망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 정부 지출을 늘린다고 발표를 하여 이코노미스트들은 경제 성장률을 높게 잡았다. (이 때문에 2022년-2025년 사이에 싱가포르 GST (통합간접세)가 7%에서 9%로 증세된다) 또한 싱가포르는 타 국가에 비해서 covid-19 질병을 잘 컨트롤을 하고 있고 백신 계약도 발빠르게 하는 나라이기도 하여 올해부터 성장률은 타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양호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싱가포르 경제는 글로벌 의존도가 높아 이 부분은 지켜봐야 할 것이다.

싱가포르에 수출을 하는 한국 소비재 기업들에게

싱가포르는 유류, 주류, 담배 등 특정 4개의 품목을 제외하고 전부 관세가 면제된다. 그리고 싱가포르 수출에 가장 이득인 것은 바로 위생허가가 까다롭지 않다는 점이다. 물론 전자기기는 PSB (Productivity and Standard Board), 식품은 HSA (Health Sciences Authority)라는 인증마크를 받아야 하지만 화장품 등 뷰티제품은 별도의 위생허가가 필요가 없다. 항공으로든 해상으로든 수출을 하기가 용이하며 통관상에 까다로운 절차도 생략이 된다. 만약 소량으로 싱가포르에 수출을 할 시에 주로 바이어들이 SGD 400미만으로 undervalue해달라고 한다. GST 7%를 면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의 한도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싱가폴 수입상들은 현지 내수 셀러들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대부분 주변국가들로 재수출을 하여 차익을 얻는다. 즉 한국에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네이 등 수출을 할 때에 직접 수출을 하지 않고 싱가포르로 경유를 해서 수출을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 이유는 싱가포르 reseller들은 주변 국가로 수출을 할 수 있는 언더그라운드 유통망을 잘 알고 있고 또한 주변국들이 없는 물건이 없는 싱가포르에서 매입을 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필자도 대부분 최종 목적지는 인도네시아 혹은 말레이시아로 수출을 하는데 대부분 싱가포르에 경유를 많이 한다. 그래서 싱가포르의 지리적인 이점을 최대한 살리는 것을 추천을 한다. (실제 싱가포르는 주변국들 상대로 압도적인 높은 무역 흑자를 자랑한다.)

** 물가, 기준금리 등 싱가포르의 매크로 경제는 추후 다뤄보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Nikkei Asia, Statista, EIU, Wikipedia 

2021/01/01

한국의 첫 FTA (Free Trade Agreement) 체결 국가, 칠레.

"칠레", 이 국가를 흔히 떠오르면, 한국과 지구 정 반대편에 있는 국가 혹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가로 간주할 것이다. 칠레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분들은 한국과 첫 FTA 체결 국가라고 언급을 하거나, 구리에 매우 의존하는 국가라고 얘기를 할 것이다. 물론 우리가 '칠레'라는 주제로 신중하게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지는 않지만 그 나라에 대해서 파고들면 상당히 매력적인 국가라는 것은 결코 부정할 수 없다.

간단 소개

산티아고를 수도로 한 칠레는 전 세계에서 36번째로 큰 나라이다. 이는 파키스탄, 터키보다는 작지만, 잠비아와 미얀마보다는 더 넓다. 인구는 2020년 6월 기준 약 19,500,000명이다. 면적은 한국보다 7.5배 더 크지만 인구는 서울과 경기도 인구를 합친 수준도 되지 않는다. 그만큼 칠레는 고산지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서식지가 적으며 인구 밀집도가 타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다. 특히 수도 산티아고의 인구는 두 번째로 큰 도시 발파라이소 인구에 비해서도 7배가 더 많다. 2천만명이 채 약간 되지 않는 인구 중 61%가 메스티조, 29%가 백인들로 이루어져 있고 원주민은 1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 나라는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채택하여 사용을 한다. 인구의 약 2/3이 가톨릭 종교를 믿는다.

명목 GDP는 2,820억 달러, 원화로는 300조 원 정도 되며, 1인당 GDP는 14,800달러이다. 연평균 GDP 증가율은 1% 정도 되지만 2018년에는 4%정도 반짝 성장을 하였다. 이는 내수 투자에 의한 정부의 지출 증가로 인하여 GDP 성장률이 평상시보다 높게 나왔다고 분석된다. 칠레는 중남미 국가 중 생활수준이 우루과이 다음으로 높은 국가이다. 물론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서는 생활 수준과 국민 소득이 한참 낮지만 중남미 국가에서 1인당 GDP가 1만달러 이상을 기록하는 국가가 우루과이, 칠레, 아르헨티나 말고는 없다. (아르헨티나는 연평균 36% 정도의 하이퍼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국가이므로 경제가 좋다고 할 수는 없다.)


경제 개방

칠레는 남미 국가 중 가장 빨리 경제를 개방하였다. 남미 국가들은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것 보다는 대중적 지지를 얻으려는 포퓰리스트 정치사회가 자리잡고 있다. 대부분 남미 국가들은 포퓰리스트적 지출과 국가 개입에 기반한 성장 전략을 취해왔지만, 칠레는 1970년부터 급진적이고 일관성 있게 개혁을 추진했다. 당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의 쿠테타 이후 정권을 잡아 경제 개혁을 시도를 한 것이 칠레를 고성장하게 만든 원동력이다. 시카고대학교 출신의 칠레 경제학자를 중심으로 자유지상주의적 정책을 펼쳐 국영 기업을 민영화 하고, 관세 및 규제 완화를 추진하여 무역장벽을 해소하였다. 물론 정치적 반대 의견이 많았지만 이들을 억누르는 동시에 경제적 부작용을 감수하면서 매년 140%이라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과도한 재정지출, 부채를 억누르는데도 성공하였다. 자유 무역을 환영하지 않는 메르코수르(반미 국가)에 비해 칠레는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다. 매해 5%씩 수축하는 칠레의 경제 성장률이 개혁 후 GDP가 10년만에 2배가 되는 신화를 기록하였다. 칠레가 선두로 경제개방을 하니 전까지 FDI 기피 대상이었던 칠레에 1985년부터 년간 7.5%씩 외국인 투자를 끌어올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칠레는 2010년 무렵 안데스 산맥 국가인 콜롬비아, 페루 등등과 태평양동맹(Pacific Agreement)을 결성하였고 그중에서도 리더역할을 맡았다. PA 회원국들은 그들만의 무역 거래 뿐만 아니라 철로와 도로 등 인프라망 개선, 그리고 지역 주식 거래도 원활히 하게끔 야심찬 계획을 세웠으며 회원국 사이에 관세를 92% 철폐를 하고 비자도 제거하였다. 위에 언급하였던 메르코수르 회원국처럼 반미를 주장하는 것이 아닌 그들의 실질적인 경제적 발전에 더 집중을 하였다. 

한국 - 칠레 FTA

칠레는 남미 국가 최초로 OECD 가입국으로 (2010년 1월) 유명하고 약 54개국과의 FTA 체결을 하여 활발한 무역을 하고 있다. 그 중 한국인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한국-칠레 FTA일 것이다. 2004년 2월에 통과되어 4월에 발효된 한국-칠레 FTA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자유무역주의의 확산에 대응

2. 안정적 수출시장과 구리 등 원자재의 수입시장 확보. (이는 전기, 전자분야 등 제조업에 필요한 중요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이 칠레에 수출을 할 때, 칠레의 내수 침체로 인한 반덤핑조치 등 무역제한 간섭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FTA 체결을 한 것도 있다.)

3. 상대국 투자시장이 확대되고 투자 보장이 강화. (이는 칠레의 54개국 체결국이 한국 수출에 매우 유리하다)

이로 인해 칠레는 한국을 상대로 FTA가 체결된 후 1년동안 54.3% 수출 증가와 54.3% 수입이 증가가 기록되었다. 칠레는 한국에 원자재, 목재, 육류, 과일, 포도주 등을 수출하게 되었고 한국은 자동차, 핸드폰, 캠코더, TV 등을 수출하였다. 현재 한국이 칠레의 무역 상대국 4위이고 33억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45억 달러 수출 / 13억 달러 수입)

무역 통계

2019년 기준으로 수출 690억 달러와 수입 65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약 40억달러의 흑자를 내는 대표적인 무역흑자국이며 재정도 남미국가들 중 가장 튼튼하다. 한국보다 더 많은 교역을 많이 하는 국가가 미국, 중국, 일본 뿐이다. 중국, 일본에는 무역흑자를 자랑하지만 미국을 상대로 원유수입이 많아 아직까지는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전년에 비해는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하여 중국의 원자재 수요 급감으로 인한 수출 감소와 남미국가의 고질적인 문제인 소득 불평등으로 칠레 반정부 시위가 발발하여 경제가 어려워져 수입도 동시에 하락한 편이다. 말 그대로 불황형 흑자이다.   

매크로 경제

미국 1달러 당 710.5 칠레 페소이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 같은 남미 국가에 비해 환변동성이 많이 없는 편이다. 하지만 추세가 과잉 공급 문제로 구리가격 하락 국면이라 지켜봐야 하지만 칠레의 건전한 무역수지를 고려하면 큰 걱정은 할 필요는 없다.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는 2.0%이었으나 팬더믹 확산으로 현재 0.5%까지 인하하였다. 그리고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약 2.7%이다. 이것에 대해 추후 자세히 다뤄보겠다. 

칠레에 수출을 원하는 한국 소비재 기업

칠레는 우리나라와 정반대에 위치해있다. 그러므로 높은 물류비용은 항상 감수를 해야할 것이다. 해상으로 수출할 경우에 FOB 혹은 CIF 가격을 제시하면 되지만 이것은 FCL, LCL 수출 등 대량일 경우 가능하다. 하지만 칠레에 대량 진출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샘플식 소량을 먼저 수출을 해야 하는데, 그 소량을 운반하는 항공비용이 만만치 않다. 특히 팬더믹 확산으로 인한 항공편 감축으로 물류비용이 폭등했다. 이 부분을 잘 감안하기 바란다. 그리고 EMS 서비스는 저렴하여 수출업자들이 선호를 하지만 이 또한 팬더믹으로 상황에 따라 특정국가에 운송 서비스를 중단하는 케이스가 있다. 이 부분은 수시로 잘 확인해보아야 할 것이다. 여튼 물품 가격보다 물류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애초에 바이어들에게 Fedex, TNT, DHL 등 account를 직접 생성하도록 조언을 하는것이 나은 편이다.  EXW 조건을 추천한다.

칠레 통관시 화장품과 식품은 ISP라는 인증을 받아야 하고 전기, 전자 제품은 TBT 인증을 받아야 추후 대량 수출이 가능할 것이다. 소량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대량일 경우에는 HS 코드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 상품에 인증마크가 꼭 필요하다. HS코드를 조작하거나 인보이스상 undervalue하는 것은 추천을 하지 않는다.

한 가지 다행인 점은 칠레의 환율 리스크가 타 이머징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다. 가격만 잘 세팅을 한다면 환차손 리스크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칠레가 한국과 FTA가 체결되어 있어 낮은 관세율로 칠레 현지 수입 단가가 저렴해진다는 것은 한국 수출업체에게 큰 호재일 것이다. 하지만 칠레 무역 정책의 변화가 매년이 될 수도 있고 매달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국가 정보를 주시하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 자료: KITA 통계, EIU, Statista, Rise and Fall of the Nation (Ruchir Sharma)